(재)호남문화재연구원

학계소식

> 소식창 > 학계소식

국립고궁박물관「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 개최

2021년 11월 02일 11:05

관리자 조회 620

- 11.3.~12.31. 국립고궁박물관「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 개최 -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되어 언론과 국민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던 조선 시대 주요 금속 유물들이 출토 5개월 만에 국민에게 공개된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과 (재)수도문물연구원(원장 오경택)은 오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Ⅱ에서 지난 6월 서울특별시 인사동에서 발굴한 유물 1,755점을 모두 선보이는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을  개최한다.


  전시는 ▲ 1부 ‘인사동 발굴로 드러난 조선 전기 금속활자’, ▲ 2부 ‘일성정시의와 조선 전기 천문학’ 등 총 2부로 구성하였다. 지난 6월 발굴 당시, 훈민정음 창제 시기인 15세기에 한정되어 사용되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점, 한글 금속활자를 구성하던 다양한 크기의 활자가 모두 출토된 점 등은 최초의 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당시 화제를 모았던 금속활자들을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동국정운: 세종의 명으로 신숙주, 박팽년 등이 조선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운서(韻書), 중국의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사용된 ㅭ, ㆆ, ㅸ 등 기록


  먼저 1부에서는 한 점의 깨진 도기항아리가 등장하는데, 발굴 당시에 금속활자들이 담겨져 있던 그릇이다. 그릇을 지나면 제작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1,300여 점의 활자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맞은편에는 주조 시기가 밝혀진 304점의 갑인자와 을해자, 을유자 활자가 전시되어 있다.
  * 갑인자: 1434년(세종 16) 경연에 있던『효순사실(孝順事實)』등 서책의 글자를 자본(字本)으로      삼고, 부족한 글자는 수양대군(훗날, 세조)이 모사한 글자로 보충하여 만든 20여 만자 금속활자
  * 을해자: 1455년(세조 1) 강희안(姜希顔, 1418-1465)의 글씨를 자본으로 주조함
  * 을유자: 1465년(세조 11) 정난종(鄭蘭宗, 1433-1489)의 글씨를 자본으로 주조함


  주조시기를 알 수 있는 활자는 갑인자(1434, 세종 16년) 48점, 을해자(1455, 세조 1년) 42점, 을유자(1465, 세조 11년) 214점이다. 활자 중 ‘火’(화)·‘陰’(음) 두 글자는 갑인자로 찍은『근사록(近思錄)』(1435, 보물,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두 글자를 포함해 형태와 모양이 같은 활자 48점을 골라 책자와 함께 전시하였다.


  을해자와 을유자로 확인된 활자는 각 『능엄경』(1461, 보물, 서울역사박물관 소장)과『원각경』(1465, 보물, 호림박물관 소장)에 찍힌 글자를 확인했고, 해당 활자들이 을해자와 을유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된 금속활자를 관람객들이 더 잘 볼 수 있도록 전시장 여러 곳에 확대경과 사진을 담은 휴대용컴퓨터를 비치하였다. 또한, 주조를 담당했던 ‘주자소 현판’과 조선 시대 활자 주조의 연혁이 적혀 있는 ‘주자사실 현판’도 이번 전시를 통하여 볼 수 있다.


  ▲ 2부에서는 조선 전기 과학기술을 알려주는 유물들을 소개한다, 특히, 주목되는 유물은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다. 1437년(세종 19)에 국왕의 명으로 처음 제작된 주야겸용 시계로 중국에서 전래된 혼천의와 간의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소형화한 시계다. 낮에는 해 그림자로, 밤에는 별을 관측하여 시간을 측정하던 기구로, 그동안 기록으로만 확인되다가 처음으로 실물이 출토되었고, 비록 3개의 고리 중 한 개는 일부만 출토되었지만, 다행히도 전체 모습은 알 수 있다. 또한, 일성정시의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박물관 소장품인 ‘소일영’(小日影)을 전시하였다. 해시계인 소일영은 눈금표가 새겨진 둥근 고리와 받침대, 석제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를 한꺼번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 밖에 직사각형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 있는 자동 물시계 부속품인 ‘일전(一箭)’을 볼 수 있다. 자동 물시계에는 시간을 알려주는 인형이 있는데, ‘일전’은 바로 그 인형을 작동시키는 구슬을 방출하는 부품이다. 이 일전이 자동물시계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작동 원리는 무엇인지를 담은 영상도 공개된다.


  공개유물 가운데 제작 연대가 확실한 1점의 승자총통(1583년)과 7점의 소승자총통(1588년)도 볼 수 있다. 이 총통에는 제작한 장인의 이름, 제작 연도, 총통의 무게와 화약량 등이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제작 연도(1535년)가 적혀진 동종(銅鐘) 파편과 정륭원보, 조선통보 등 금속화폐도 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인사동 발굴 현장의 하루와 발굴 참여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은 영상도 공개된다. 또한, 음악가 박다울 씨가 이번 전시를 위해 출토 유물과 유적의 의미를 담은 곡을 직접 작곡하여 공개해 특별함을 더했다. 11월 둘째 주에는 박다울 씨가 전시실에서 직접 연주한 영상을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를 통하여 제공할 예정이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록과 온라인 콘텐츠도 제공한다. 도록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직접 내려받을 수 있다. 11월 둘째 주부터는 인사동 발굴 이야기를 담은 영상, 전시해설 영상 각 1편을 문화재청과 박물관 유튜브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시실 전경, 유물설명, 사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VR) 콘텐츠도 제작하여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LG생활건강 더 히스토리 오브 후가 후원하였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전시를 통해 인사동에서 출토된 유물의 전모를 알리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후속 연구가 가능한 기초 자료 제공의 기회가 되길 바라며, 한편으로 국민이 조선전기 과학문화의 정수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Encounter with the Brilliant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 All 1,755 pieces of artifacts unearthed from the Insadong Excavation Site to meet the public /
November 3rd to December 31s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In-Gyu)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gether with Sudo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Oh, Kyong-Taek), holds a special exhibition under the title Encounter with the Brilliant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from November 3rd to December 31st,. at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Ⅱon the 1st floor of the museum, to exhibit all 1,775 pieces of artifacts excavated at the Insadong site last June. This exhibition is sponsored by LG Household & Healthcare, The Story of Whoo. Since the excavation in June from the Insadong site was reported in the media, the found artifacts received so much attention from the public. This exhibition answers to such enthusiasm and aims to present the relic to the public for everyone to enjoy.


The exhibition is made of two parts. ▲Part 1‘ l Type of Early Joseon Dynasty Unearthed at the Insadong Excavation Site’, and ▲Part 2 ‘Excavated Artifacts and the Study of Meteorology in Early Joseon Dynasty’.


▲Part 1 greets the visitors with a pottery jar that was found broken, which contained 1600 pieces of l type. 1300 pieces of l type that require further research to find out when they were made are exhibited on one side of the exhibition hall. On the other side, other pieces of l type with known production years are exhibited.


Of the latter group, 48 l type of 1434 which was made in 1434 under King Sejong’s orders (Year 16 of King Sejong), 42 l type of 1455 (Year 1 of King Sejo) and 214 l type of 1465 (Year 11 of King Sejo) are on display. Of the found l type, Chinese character ‘火’meaning‘fire’and‘陰’meaning‘shadow, silence’can be cross-checked in the Geunsarok (Reflections on Things at Hand近思錄, 1435, Treasur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ich is already confirmed to have been printed using the l type of 1434. The two letter type‘火’and ‘陰’along with additional 48 l types with the same form and shape are exhibited alongside the aforementioned book. l type of 1455 has been cross-checked against Neungeomgyeong (The Sutra of the Heroic One, 1461, Treasure, Courtesy of Seoul Museum of History) and l type of 1465 against Wongakgyeong (The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1465, Treasure, Courtesy of Horim Museum), are also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t various locations, magnifying glasses and tablets with photos of the artifacts have been placed to invite the visitors to take an even closer look at the small l type. The Hanging Board of the Type Casting Office, Jujaso and the Hanging Board with the History of Type Casting will also be on display.


▲Part 2 exhibits excavated artifacts that demonstrate the scientific endeavor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ost important artifact in this section is the Sun-and-Star Time Determining Instrument, which uses the shadows made by the sun during the day and the stars at night to tell the time. Up until now, the instrument existed only in the records. This excavation brought the instrument back to life. Although one out of the three rings is not complete, we can still envision how it would have looked like when they were in actual use. Next to the newest addition, we also exhibit the Simplified Sundial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hich will help the visitors understand how the Sun-and-Star Time Determining Instrument works. The Simplified Sundial is made of three parts; a round ring with time indicating marks around it, a l base and holder, and a stone pedestal. It is the first time that all three parts of the Simplified Sundial will meet the public. The Internal Component of Self-striking Water Clock was also unearthed. It is a rectangular l plate with round holes on it in regular intervals. The Self-striking Water Clock has a doll that notifies the time. The discovered component is used to release marbles that will activate the movement of this doll. A video clip showing where the found component belongs to in the Self-striking Water Clock, and how it functions, will be played next to the exhibited artifact.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from Insadong, one Hand Cannon (1583) and seven small Hand Cannons (1588) will be displayed with a clear description of when they were made, by whom, how much it weighs and how much gun powder it must use; as these facts are engraved on the cannon body. Pieces of a Copper Bell, marked to have been made in 1535, and different types of l Coins are also on exhibit.
The finale of the exhibition showcases a video showing how a typical day on the excavation site is like, with the lively voices of the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excavation project. Along the vivid ambiance sounds of the project site, the visitors will also be entertained with special music performed by Park Dawool, who received much attention at a band competition program. Park Dawool composed a new piece of music for this exhibition, embedding the meaning of the found artifacts and the excavation site. In the second week of November, recorded performance by the artist himself in the exhibition hall will be uploaded on the Youtube channel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dditional print material and online content will be provided to make the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 even more enriching. The exhibition catalog and digital images of the excavated artifacts can be downloaded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s homepage. And in the second week of November, two more video clips on the behind-the-stage stories of the excavation and the curator’exhibition commentary will be uploaded on the Museum’s Youtube. Special VR showing the entire exhibition hall, explanations of the artifacts and related photos will also be provided.


This exhibition aims to first, bring all of the excavated artifacts to meet the general public, and secon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llecting basic data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research. We hope you will enjoy this exhibition as you meet the magnificent scientific artifacts from early Joseon that have finally come to shine




[크기변환]안내홍보물 (2).jpg

<안내 홍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