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호남문화재연구원

학계소식

> 소식창 > 학계소식

(국영문 동시 배포) 부여 부소산성에서 ‘乙巳年(645년 추정)’명문 토기 출토

2020년 12월 10일 09:21

관리자 조회 815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관로 공사중 유구 확인되어 긴급 발굴 -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부여 부소산성(사적 제5호) 긴급발굴조사에서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와적기단(瓦積基壇) 건물지, 집수시설을 비롯하여 ‘을사년(乙巳年)’, ‘북사(北舍)’ 글씨가 새겨진 토기 등 중요유물을 확인하였다.
  * 와적기단(瓦積基壇): 기와를 이용하여 건물 기단의 가장자리를 마무리한 것


  부여 부소산성은 백제 사비도성의 배후산성과 왕궁성으로 추정되는 유적으로, 성의 둘레는 약 2,200m이다. 지난 1980년부터∼2002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연차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백제~조선 시대에 축조한 성벽, 백제 시대 수혈 건물지(땅을 파고 조성한 건물지)와 목책열, 조선시대 군창지 등을 확인한 바 있다. 
  * 목책(木柵) 시설: 구덩이를 파고 나무기둥을 줄지어 박아 서로 엮어서 만든 시설


  이번 조사는 지난 7~8월, 부소산성 내에 너비 1m, 깊이 0.8m의 재난 방재 관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성벽, 건물지, 추정 집수시설 등 유구의 존재가 확인되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긴급발굴을 하면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부소산성 내 평탄지가 존재하는 군창지 구간, 사자루 구간, 궁녀사 구간 등에서 백제 시대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다. 군창지 구간에서는 백제 중요유적에서 주로 확인되는 와적기단을 갖추고 둥근 모양으로 잘 다듬은 초석(기둥을 받치는 돌)을 사용한 위계 높은 건물지가 발굴되었다. 사자루 구간에서는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 굴립주 건물지, 사각(방형)의 초석을 사용한 건물지 등이 조사되었다. 궁녀사 구간에서는 집수시설이 확인되었다.
  * 군창지: 군수물자 창고 유적지
  * 사자루: 부소산성 서북쪽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누각
  * 궁녀사: 부소산성 내 있는 사당으로 삼천궁녀를 기리는 곳으로 알려짐
  * 굴립주 건물(掘立柱建物): 기둥 밑동을 땅속에 박아 세우는 건축 방식
 

  특히, 궁녀사 구간 집수시설에서는 ‘乙巳年(을사년)’, ‘北舍(북사)’라는 글씨가 새겨진 토기, 중국제 자기, 칠기(漆器) 등 중요유물과 더불어 수백 점이 넘는 백제 사비기 토기가 함께 매몰되어 있었다. 출토된 백제 시대 토기는 완형에 가까운 기대(器臺), 보주형(寶珠形)뚜껑, 전달린토기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7세기 신라 병형토기도 출토되었다.
  * 칠기(漆器): 나무 등을 재료로 하여 형태를 만든 다음 옻칠과 같은 검은 잿물을 입혀 만들 물건
   * 기대(器臺): 바닥이 둥근 항아리와 같은 기물을 받치기 위해 제작된 그릇받침
   * 전달린토기: 토기의 위쪽 가장자리가 조금 넓적하게 돌출되어 있는 토기 


  주요 출토 유물인 ‘乙巳年’ 명문 토기에는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을사년삼월십오일모시산국작?)이라는 14자의 명문이 쓰여 있는데, 그 내용은 을사년 3월 15일 모시산 사람 국(菊)이 만들었다‘로 해석되어 토기의 제작연대(645년 추정), 제작지(예산, 덕산 추정), 제작자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같이 출토된 ‘北舍’명 토기는 백제 사비왕궁지구인 관북리 유적, 익산의 왕궁리 유적, 익산토성과 같이 왕실과 관련 있는 중요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부여 부소산성 내 백제∼통일신라 시대 성벽의 축조방식과 부소산성 내부공간의 활용방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결과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는 11일 오전 10시에 문화재청과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된다.
   *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 http://www.youtube.com/user/chluvu
   * 국립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nrichpr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21년부터 부소산성에 대한 중·장기 학술조사 계획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조사 과정에서 도출되는 성과는 온·오프라인을 활용한 현장설명회를 진행하여 국민과 함께 공유할 계획이다. 
 


Excavate Earthenware Inscribed with ‘乙巳年(estimated as 645)’ from the Busosanseong of Buyeo
- Urgent Excavation of the remains during the pipeline construction by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Hwang In-ho)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an urgentexcavation survey at the Busosanseong of Buyeo (Historic Site No. 5) and identified important relics such as earthenware inscribed with ‘Eulsa Year(乙巳年)’ and ‘Buksa(北舍)’ as well as the fortress walls from the Baekje toUnification Silla Period, the building site of wajeok foundation, and a water catchmentfacility.
* Wajeok foundation(瓦積基壇): Roof tiles-stacked stylobate, Finishing the edge of the building foundation with roof tiles


The Busosanseong of Buyeo is presumed to be a mountain fortress at the back of Sabi, the capital city of Baekje and a royal fortress with a circumference of about 2,200 meters. From 1980 to 2002,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d conducted an annual excavation survey and identified the fortress walls built from the Baekje to Joseon period,the dugout building siteand wooden barricades of the Baekje Period, and the military warehouse site during the Joseon Period, etc.


The investigation was started to excavate because of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relics such as fortress walls, building sites, and estimated water cathchment facilities on July and August in this year during constructing a disaster prevention pipeline with a width of 1m and a depth of 0.8m within the Busosanseong.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various relics from the Baekje Period were identified in the Gunchangji section, the Sajaru section, and the Gungnyeosa section where flat land exists in the Busosanseong. In the Gunchangji section, a high-lying building site with a wajeok foundation, which is usually found in important Baekje relics, using round-shaped and well-made stones was excavated, In the Sajaru section, the fortress walls from Baekje to Unification Silla Period, theGulipju building site, and the building site using square foundation stones, etc. were investigated. A catchment facility was identified in the Gungnyeosa section.
* Gunchangji : A warehouse site of Military materials
* Sajaru : A pavil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northwest side of Busosanseong.
* Gungnyeosa : Known as a shrine that honors the three thousands of maids
* Gulipju building site :Pit-driven-posts building, a method of building the base of a pillar into the ground.


In particular, in the water cathchment facility of the Gungnyeosa section were buried over hundreds of earthenware of the Sabi Period of Baekje, along with important relics such as earthenware inscribed with ‘乙巳年’ and ‘北舍’, Chinese porcelain, and lacquerware(漆器). The excavated earthenware from the Baekje Period is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Kidae(器臺), gem-shaped(寶珠形) lids, and Jeondalin earthenware. Earthenware of Silla in the 7th century was also excavated.
* Lacquerware(漆器): An object made of wood, etc. and then coated with black lye, such as lacquer.
* Kidae (器臺): A bowl stand designed to support objects such as a pot with a round bottom.
* Jeondalinearthenware : A earthenware with Extended Rim, a slightly wider protrusion on the upper edge of the earthenware.


Most notable relics are earthenware inscribed with ‘乙巳年’ and ‘北舍’. The earthenware inscribed with "乙巳年" contains 14 characters,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 which is interpreted as ‘It was created by Guk(菊), a person from Moshisan, on March 15 of Eulsa Year’. It is considered as a valuable material that informs the date of manufacture of the earthenware (estimated as 645), the place of manufacture (estimated as Deoksan, Yesan), and the manufacturer. In addition, the earthenware inscribed with ‘北舍’, which was excavated together, had been excavated from important site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such as the Gwanbuk-ri site in the Sabi royal palace district of Baekje, the Wanggung-ri site in Iksan, and the Iksan Earthen Fortress.
The remains identified through this surve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fortress walls form Baekje to Unification Silla Period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Busosanseong in Buyeo. The finding on this surveywill be released online on December 11 (Friday) via the YouTube channe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 YouTube Channe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s://www.youtube.com/channel/UCxWZbyZ-UhohFp3BYNh2d7Q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lans to conduct a systematic excavation survey by establishing a mid- and long-term academic survey plan for the Busosanseong from next year. In addition, we plan to continue to expand opportunities to share the results with the public by holding on-site briefing sessions using online and offline.


noname01.jpg


<명문토기>